"위안부 송출 현장 부산에 위안부 문학관 만들자"
상태바
"위안부 송출 현장 부산에 위안부 문학관 만들자"
  • 취재기자 정혜리
  • 승인 2016.03.01 17:5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역 유지 634명, 제2차 부산선언 통해 제창..."치욕의 역사 잊어선 안된다"
▲ 지난 29일, 부산 지식인들의 모임인 부산선언 대표들이 부산국제여객터미널에서 '2차 부산선언'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사진: '부산선언' 모임 제공).

“과거의 역사를 늘 반추하고 성찰할 수 있는 역사적 공간을 제대로 마련할 필요가 있다. '일본군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 역사문학관' 설립을 통해 기억의 장소를 마련하는 것, 이 또한 지난 번 '부산선언'에서 밝힌대로 고 고현철 교수가 남긴 성숙한 민주주의를 향한 뜻과 정신을 잇는 길이기도 하다.”

이는 지난 2월 29일 오전 10시 부산항 국제여객터미널 주차장 앞에서 부산지역 각계 지식인들이 발표한 '2차 부산선언' 중 일부다.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의 역사·문화관을 만들자는 각계각층의 목소리가 '부산선언'으로 크게 울려 퍼지고 있다.

2차 부산선언은 부산이 개항 후 일제강점기 동안 징집되어 송출되었던 치욕의 공간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많은 일본군 위안부 할머니들이 부산항을 통해 전쟁터에 강제로 끌려갔기 때문에 부산에 위안부 역사자료 문학관을 마련하여 치욕스러운 역사를 승화시켜야 한다는 것이다. 이날 선언이 부산항 국제여객터미널에서 발표된 것 역시 위안부 할머니들의 아픈 상처를 기억하기 위해서다.

2차 부산선언에 참여한 부산의 지식인은 시민 모금 등을 통한 '일본군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 역사문학관' 설립 운동을 본격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강은교 시인(전 동아대 교수), 최은희 무용가(경성대 교수), 이송희 역사학자(신라대 교수) 등을 공동위원장으로 한 역사문학관 설립 추진위원회도 발족됐다. 추진위원회는 이달 17일 부경대에서 창립 위원회를 열고 실무 기구로 집행위원회도 출범시킬 예정이다.

이날 발표된 2차 부산선언에는 교수 96명, 비정규교수·강사 43명, 대학원생·대학생·학생 124명, 교사 26명, 종교인 29명, 문화·예술인 58명, 시민사회단체 활동가 60명, 언론인·정치인·의사·변호사 22명, 회사원·주부·노동·자영업 176명 등 지식인을 중심으로 한 각계각층 시민 총 634명이 서명했다. 이 중 300여 명은 지난해 11월18일 발표된 '1차 부산선언'부터 뜻을 함께 해왔다.

▲ 기자회견이 끝난 후 부산선언 모임은 간담회를가졌다(사진: '부산선언' 지식인 모임 제공).

부산선언은 지난해 1차 부산선언으로 시작됐다. 작년 8월, 고 고현철 부산대 교수가 총장직선제의 회복을 외치며 부산대 캠퍼스에서 투신한 사건이 부산선언의 출발점이 됐다. 이 사건은 대학가를 충격에 빠뜨리며 대학 민주주의의 불씨를 다시 살리는 계기가 됐던 것. 고 고현철 교수의 정신을 받들어 사회 구석구석 비민주적이고 비양심적인 요소들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고 구체적인 대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출발한 것이 바로 부산선언이란 지식인 모임이다.

부산선언 대표 부경대 국문학과 남송우 교수는 “고 고현철 교수의 숭고한 희생정신이 사그라져선 안된다는 책임감에 따라 시민들의 양심과 의식을 일깨우기 위해서 부산선언을 시작하게 됐다”고 밝혔다.

남 교수는 3차, 4차 부산선언에선 각종 국내 현안에 대한 부산 지식인들의 견해가 발표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성숙한 사회를 만들기 위해서는 부조리와 민주주의의 후퇴에 대한 성찰과 비판이 반드시 따라야 한다"고 부산선언의 의미를 설명했다. 또 “이런 정신에 공감하면서 동참하는 깨어있는 시민들이 늘어난다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