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기업 채용비리 이후 “점수 공개하라” 취업준비생 요구 빗발
상태바
공기업 채용비리 이후 “점수 공개하라” 취업준비생 요구 빗발
  • 취재기자 조윤화
  • 승인 2018.03.14 15:0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구직자 89.3% “탈락 사유 알고 싶다”, 공개의무화 국민청원도...공기업 "일괄 공개는 자율권 침해" / 조윤화 기자
공기업 채용 비리가 적발된 뒤, 공기업 공채에 지원했던 구직자들의 점수 공개 요청이 빗발치고 있다(사진: 구글 무료 이미지).

공기업 인사의 공정성에 대한 사회의 불신감이 높아지면서 공기업 공채에 지원했던 구직자들의 점수 공개 요청이 빗발치고 있다.

지난 1월 정부의 공공기관 채용 비리 전수조사 결과에 따르면, 1190개 기관, 단체 가운데 946곳에서 4788건이 지적됐다. 80%에 달하는 공공기관에서 채용 비리가 적발돼 사기업만도 못한 공기업 채용 실태의 민낯이 그대로 드러난 것.

취업 한파 속 안정된 직장을 찾는 구직자에게 공기업은 그동안 ‘신의 직장’으로 불리며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 ‘낙타가 바늘구멍 통과하는 것보다 힘든 공기업 취업’이라는 말까지 나왔을 정도다. 이 같은 상황 속 공기업의 취업 비리가 터지자 공기업 취업을 희망하는 구직자들은 더는 공기업의 인사과정을 믿을 수 없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실제로 채용 비리 논란 이후, 공기업 취업 관련 커뮤니티에는 채용 시 불이익을 받을까 걱정하는 구직자들의 글이 상당수 게제됐다. 인터넷 카페 '공취사(공공기관 취업을 준비하는 사람들의 모임)'의 한 회원은 “채용 비리가 있다는 소문만 들었다가 사실로 드러난 후 내가 이길 수 없는 싸움처럼 느껴진다”고 허탈해 했다.

그동안 대다수 취업준비생들은 기업으로부터 정당한 탈락 사유를 들을 수 없는 것에 대해 어려움을 토로해 왔다. 취업포털 사람인이 구직자 1526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89.3%의 응답자가 “탈락 사유에 대한 피드백을 받고 싶다‘고 답했다. 공기업 채용 비리 사태를 계기로 정당한 탈락 사유를 알고자 하는 구직자들의 목소리는 집단적 움직임으로 나타나기도 했다.

지난 1월 경 공기업 채용 전형별 점수 공개를 의무화해달라는 국민청원이 등장했다. 해당 청원에 한 달여 만에 1000여 명이 동참했다(사진: 국민청원 홈페이지 캡처).

지난달엔 ’공기업 채용 전형별 점수 공개를 의무화해달라‘는 국민청원이 올라와 한 달 간 천여 명의 동참을 끌어냈다. 해당 청원은 채용 제도의 투명성을 높이고, 취업준비생들이 자신이 어떤 부분이 부족한지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공기업의 채용 전형별 점수 공개를 의무화해달라는 내용을 골자로 하고 있다.

현재 공공기관은 정보공개제도에 따라 국민이 요구하는 정보를 공개할 의무가 있다. 따라서 공기업에 지원한 구직자들은 정보공개포털에 문의해 채용과정에서 자신의 필기시험 점수를 알아낼 수 있다. 공기업 취업 관련 커뮤니티에는 이미 정보공개포털에 점수 공개를 요구하는 방법이나, 답변을 받은 후일담들이 공유되고 있다. 하지만 이마저도 공기업마다 정보 공개 여부와 범위가 제각각이라 아예 모든 공기업의 채용 전형별 점수를 공개하라는 청원이 올라온 것이다.

반면 채용 전형별 점수를 공개하는 것이 또 다른 부작용을 낳을 것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한국일보와 인터뷰한 공기업 관계자들은 ”전형별 합격점수가 특정 개인의 인사 정보에 해당할 수 있어 공개가 어려울 것 같다“, “기관마다 시험점수 활용방식이 달라 일괄적으로 공개를 지시하면 자율권을 침해할 수 있다”며 우려를 나타냈다. 일각에서는 합격자 커트라인 점수, 백분위 점수가 공개될 경우 점수가 낮은 분야에 지원자 쏠림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공기업 관계자들이 여러 부작용을 우려함에도 네티즌들은 채용별 점수를 공개해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네티즌들은 “자율권보다 공정성이 우선이다. 헛소리하지 말고 공개해라”, “찬성이다. 어느 정도 이해할만한 탈락 기준과 이유는 설명해줘야 한다”, “더는 내정자 들러리 되기 싫다, 공개하라”, “코피 쏟아가며 몇 년 투자해 공부해도 권력에 의해 자리 뺏기니까 헬조선 소리 나온다”며 채용별 점수를 공개할 것을 촉구했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